본문 바로가기

STS

박희제, 과학자사회는 어떻게 작동하는가, 2014 박희제, 과학자사회는 어떻게 작동하는가, 『과학기술학의 세계』 2장, 2014 과학사회학의 초기 연구: 과학자사회의 성격, 과학제도가 작동하는과학자사회의 작동방식에 대한 연구는 이론적으로는 과학자사회의 방식을 이해하려는 노력들로 채워져 있음. 과학기술에 대한 연구가 본격적으로 사회과학의 영역으로 확대.규범에 대한 논쟁으로, 경험적으로는 과학자사회의 계층화에 대한 논쟁으로 대표된다. 마이클 폴라니, 로버트 머튼과학자들이 서로를 공통의 가치와 규범, 전통을 공유하는 동료로 인지함을 강조. '과학자 공동체'라는 개념으로 과학자사회의 독특한 성격 설명. 머튼은 과학자사회의 규범 구조에 주목. 과학혁명과 함께 태동한 과학이라는 사회제도가 불과 300여 년이하는 짧은 기간 동안 다른 제도보다 성공적으로 발전할 수 .. 더보기
Jan Golinski, Making Natural Knowledge: Challenges to the Classical View of Science Introduction: Challenges to the Classical View of Science'역사'와 '과학'의 결합을 둘러싼 개념상의 난점이 존재한다. 과학사가 무엇인지, 분과로서 무엇이 될 수 있는지 묻는 것은 가치가 있다. 이러한 질문에 대한 답이 어떻게 전개되었는지를 이야기하는 것이 책의 주제. 18세기 계몽시대 자신의 작업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방어하는 데 과학사가 사용되었다. 그들의 작업이 지식 진보의 최고점에 위치해 있다는 식으로 역사 기술. 이러한 설명은 진보적 역사관과 과학의 인식론적 보증을 결합함.첫째, 진보적 역사관둘째, 인식론적 입장휴얼은 과학사학자의 임무와 그것을 수행하기 위한 역사 기술 방법을 제시하였다.---- 구성주의는 과학지식의 참이나 타당성에 대한 평가를 하지 않..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