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gimes of Construction
이번 절의 주제 : 앞 절에서 등장한 요소들을 어떻게 종합적으로 고려할 것인가? - 과학과 기술에 대한 기반 구조(infrastructure)에 대한 연구
Latour - 중심에서 중성적인 주변 지역으로 점진적으로 뻗어 나가는 네트워크 모델
Schaffer
O'Connell
Hughes
그는 에디슨이 한 발명 자체를 중요하게 생각하진 않았다. 그를 "system builder"로 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토머스 휴스(Thomas Hughes) '기술시스템(technological system)'에 대해선 다음을 참조할 것.
http://www.hani.co.kr/arti/culture/book/126616.html
Poter
그의 문제의식을 잘 파악해야 한다. 과학에서의 정량화 전략이 성공적이었으므로 사회과학자들이 자연스럽게 그것을 채택하여 사회과학에서 정량적인 수치를 광범위하게 사용한 것이 아니다. 그 기원을 살펴보면 그 과정은 전문가의 권위가 대체되는 과정이었음을 확인할 수
"postcolonial" research
도구로서의 인간에 대한 연구 (몸의 이중성)
여성주의 연구
---
▷ 문화라는 말이 가지고 있는 '미학적 함의' : 문화를 공유하는 사람들끼리의 행동 양식의 측면에서 생각하면 될 것 같다.
▷ "과학의 문화적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이중적인 함축을 가지고 있다.
1) 과학의 실천이 문화를 바꿀 수 있기 때문에 서구의 입장에서 정의한 문화 개념을 재고할 수 있다. (식민지 문화와 관련)
2) 문화로서의 과학은 다른 문화와 완전히 동일한가? 긍정적인 대답에는 설득력이 부족하다. 과학의 보다 넓은 적용 범위를 인정해야 한다. (두 번째 절에서 제시될 네트워크 확장과 관련)
▷ '조선시대의 역법'은 도량형 연구의 좋은 예시가 될 수 있다.
▷ 재귀적, 성찰적? - 연구의 타당성 자체를 재고
'STS'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n Golinski, Making Natural Knowledge: Coda: The Obligations of Narrative (0) | 2018.02.13 |
---|---|
하대청, STS 연구 방법론 - 인터뷰 (0) | 2018.02.10 |
Jan Golinski, Making Natural Knowledge: Interventions and Representations (0) | 2018.02.01 |
서민우, 실험실의 탄생, 2016 (0) | 2018.01.29 |
서민우, 실험과학의 탄생, 2016 (0) | 2018.0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