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S

Jan Golinski, Making Natural Knowledge: Coda: The Obligations of Narrative 더보기
Jan Golinski, Making Natural Knowledge: Culture and Construction Regimes of Construction이번 절의 주제 : 앞 절에서 등장한 요소들을 어떻게 종합적으로 고려할 것인가? - 과학과 기술에 대한 기반 구조(infrastructure)에 대한 연구Latour - 중심에서 중성적인 주변 지역으로 점진적으로 뻗어 나가는 네트워크 모델SchafferO'ConnellHughes그는 에디슨이 한 발명 자체를 중요하게 생각하진 않았다. 그를 "system builder"로 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했다.토머스 휴스(Thomas Hughes) '기술시스템(technological system)'에 대해선 다음을 참조할 것.http://www.hani.co.kr/arti/culture/book/126616.html Poter그의 문제의식을 잘 파악해야 한다. 과학에서의.. 더보기
하대청, STS 연구 방법론 - 인터뷰 더보기
Jan Golinski, Making Natural Knowledge: Interventions and Representations 사회구성주의자들이 실험을 구성하는 물질, 기구의 조작과 비언어적인 수단을 어떤 방식으로 생각하는지 개괄하는 것이 이 장의 주제이다. 그들은 도구와 사물 사이의 관계와, 그것들이 서로 동화되고 구별되고 장소를 바꾸는 방식을 고려한다. 또한 그들은 시각적인 표상 체계를 과학적인 행태(scientific practice)의 일부로 이해한다. 물질과 시각적 표상 체계를 포함한 과학적 행태를 다루는 것은 "구성의 문제(the problem of construction)"에 답을 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Instruments and Objects1. 실험 도구에 대한 다양한 관점실험이 체계적으로 수행된 17세기 이래로, 실험과학은 특수한 목적을 위해 만들어진 도구들로 인해 수행되었다. 실험적 현상은 오직 실험.. 더보기
서민우, 실험실의 탄생, 2016 서민우, 실험실의 탄생, 『21세기 교양, 과학기술과 사회』 中, 2016, pp.51-65 더보기
서민우, 실험과학의 탄생, 2016 서민우, 실험과학의 탄생, 『21세기 교양, 과학기술과 사회』 中, 2016, pp.39-50 과학적 사실은 처음 창출되는 과정에서 종종 커다란 논란에 휩싸인다. 왜 과학적 사실의 경험적 근거를 두고 논란이 벌어지는 것일까? 이에 대한 답을 얻기 위해서는 실험과학의 역사를 들여다 봐야 한다. 오늘날 과학적 사실은 과학 기구를 통해 간접적으로 체험되고 전문 과학자 사회의 신뢰를 통해 구축된 사실이다. 이 역시 과학적 사실이 종종 논란에 빠지는 한 가지 이유이다. 더보기
서민우, 실험 공동체의 탄생, 2016 서민우, 실험 공동체의 탄생, 『21세기 교양, 과학기술과 사회』 中, 2016, pp.25-38 보일(1627~91)과 홉스(1588~1679)의 논쟁은 결국 보일의 승리로 이르게 되었다. 이 논쟁을 승리자인 현대 과학의 입장에서 본다면, 홉스의 반발은 정치철학자의 월권행위로 비칠 수 있다. 하지만 함의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들의 입장에서 논쟁을 다시 구성해볼 필요가 있다. 정치적 질서를 재건하려는 지적 투쟁 :17세기 전반에 발발한 30년전쟁(1618~48)은 유럽을 "완전한 고갈"로 몰고 갔다. 지식인들은 종교적, 정치적 갈등을 치유한 지적 대안을 마련하기 위해 고심했다. 따라서 확실한 지식이나 보편 언어에 대한 진지한 관심이 뒤를 이었다. 잉글랜드는 30년전쟁의 직접적인 피해를 입진 않았지.. 더보기
서민우, 베이컨주의, 2016 서민우, 베이컨주의, 『21세기 교양, 과학기술과 사회』 中, 2016, pp.14-24 베이컨(1561~1626)은 근대 초기 영국을 대표하는 법관, 정치가, 철학자이다. 그의 사상을 집약한 베이컨주의 과학철학은 17세기 과학혁명에 강력한 이데올로기적 동기를 제공함으로써 근대정신의 대명사가 되었다. 베이컨주의의 시작, 『학문의 진보』 : 베이컨주의는 1605년에 출판한 『학문의 진보』에서부터 그 기조를 드러냈고, '인류의 복지에 기여할 조작적 지식의 이념'과 그러한 지식의 증진을 위한 '실용적 처방'을 골자로 하고 있었다. 근대인들은 고대인들의 '관조적 삶'에서 '실천적 삶'으로 나아갔다.기성 세계에 갇혀 있는 스콜라철학을 극복하고 새로운 지식의 증진에 나설 것을 시대정신으로 요청하고 있었다. 이러한 .. 더보기
Jan Golinski, Making Natural Knowledge: The Place of Production Chapter 3. The Place of Production The Workshop of Nature : 실험실은 역사적으로 어떻게 형성되었는가?실험실의 독특한 특징은 무엇이며, 실험 기관은 어떻게 발생했는가? 이러한 경계가 어떻게 자원이 모이도록 통제했고, 모인 후에는 어떻게 보호했는가? 실험실 바깥 세상과의 소통은 어떻게 이루어졌는가? 물리적인 현장이 행위자를 어떻게 구속했는가? 자연지식이 만들어지는 다른 장소와 실험실의 차이점은 무엇이 있는가?실험실과 자연지식이 만들어지는 또 다른 장소가 이 장의 주제.역사가들의 작업 리뷰. 그들의 작업(자연과학은 국지적인 지식)이 담고 있는 함의 평가. 과학에 대한 "everywhere and nowhere" 관점 : 과학의 타당성은 보편적으로 확장되지만, 그것.. 더보기
Jan Golinski, Making Natural Knowledge: Identity and Discipline Chapter. 2: Identity and DisciplineThe Making Of A Social Identity사회 구성주의적 관점은 다음과 같은 주제에 대해 어떻게 답변할까? 과학의 분과와 직업, 전문화, 과학 기관의 설립, 과학적 실천이 사회적 환경을 다시 형성하는 방식.저자는 두 가지 시기에 주목한다. 첫 번째, 근대초 실험과학이 처음으로 시행되던 시기. 두 번째, 18세기 말과 19세기 초(두 번째 과학혁명)에 수많은 분과와 기관이 현대적인 틀을 갖추었다고 여겨지는 시기. 사회 구성주의적 관점은 머튼으로 대표되는 과학사회학적 관점과 무엇이 다른가? (과학기술학의 세계 중 과학자 사회와 관련된 장 참고)머튼은 과학의 인지적 내용과 사회적 문맥을 확고하게 나누는 것에서부터 그의 논의를 시작한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