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60일차: - 60일차. 더보기
Jan Golinski, Making Natural Knowledge: The Place of Production Chapter 3. The Place of Production The Workshop of Nature : 실험실은 역사적으로 어떻게 형성되었는가?실험실의 독특한 특징은 무엇이며, 실험 기관은 어떻게 발생했는가? 이러한 경계가 어떻게 자원이 모이도록 통제했고, 모인 후에는 어떻게 보호했는가? 실험실 바깥 세상과의 소통은 어떻게 이루어졌는가? 물리적인 현장이 행위자를 어떻게 구속했는가? 자연지식이 만들어지는 다른 장소와 실험실의 차이점은 무엇이 있는가?실험실과 자연지식이 만들어지는 또 다른 장소가 이 장의 주제.역사가들의 작업 리뷰. 그들의 작업(자연과학은 국지적인 지식)이 담고 있는 함의 평가. 과학에 대한 "everywhere and nowhere" 관점 : 과학의 타당성은 보편적으로 확장되지만, 그것.. 더보기
Jan Golinski, Making Natural Knowledge: Identity and Discipline Chapter. 2: Identity and DisciplineThe Making Of A Social Identity사회 구성주의적 관점은 다음과 같은 주제에 대해 어떻게 답변할까? 과학의 분과와 직업, 전문화, 과학 기관의 설립, 과학적 실천이 사회적 환경을 다시 형성하는 방식.저자는 두 가지 시기에 주목한다. 첫 번째, 근대초 실험과학이 처음으로 시행되던 시기. 두 번째, 18세기 말과 19세기 초(두 번째 과학혁명)에 수많은 분과와 기관이 현대적인 틀을 갖추었다고 여겨지는 시기. 사회 구성주의적 관점은 머튼으로 대표되는 과학사회학적 관점과 무엇이 다른가? (과학기술학의 세계 중 과학자 사회와 관련된 장 참고)머튼은 과학의 인지적 내용과 사회적 문맥을 확고하게 나누는 것에서부터 그의 논의를 시작한다.. 더보기
59일차: Unbroken, Scene #5. Unbroken 끝!!! 59일차. 영화 실전 강의 (94 ~ 97강)There is much talent is Omori camp.We have an Opera singer.Who is the Opera singer? We have a chief from Sydney, Australia.And we have an Olympic Athlete.Who is the Olympic Athlete? Who is the Olympic Athlete?Don't get up.You fail. You are nothing. 더보기
박희제, 과학자사회는 어떻게 작동하는가, 2014 박희제, 과학자사회는 어떻게 작동하는가, 『과학기술학의 세계』 2장, 2014 과학사회학의 초기 연구: 과학자사회의 성격, 과학제도가 작동하는과학자사회의 작동방식에 대한 연구는 이론적으로는 과학자사회의 방식을 이해하려는 노력들로 채워져 있음. 과학기술에 대한 연구가 본격적으로 사회과학의 영역으로 확대.규범에 대한 논쟁으로, 경험적으로는 과학자사회의 계층화에 대한 논쟁으로 대표된다. 마이클 폴라니, 로버트 머튼과학자들이 서로를 공통의 가치와 규범, 전통을 공유하는 동료로 인지함을 강조. '과학자 공동체'라는 개념으로 과학자사회의 독특한 성격 설명. 머튼은 과학자사회의 규범 구조에 주목. 과학혁명과 함께 태동한 과학이라는 사회제도가 불과 300여 년이하는 짧은 기간 동안 다른 제도보다 성공적으로 발전할 수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