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과학사

[W2] 우주의 음악과 하모니: Pesic 독서 노트 과학사통론1 - 2주차 독서 노트 (2018. 3. 9)우주의 음악과 하모니조장현 Peter Pesic, Music and the Making of Modern Science (Cambridge, Massachusetts: The MIT Press, 2014), pp. 1-131. Chapter 1. Music and the Origins of Ancient SciencePesic(2014)은 음악과 현대과학의 형성 사이에는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주장한다. 음악이 현대과학의 기원인 고대 그리스 철학의 중심적인 요소였다는 이유에서다. 1장에서 Pesic은 피타고라스부터 시작해 필롤라오스, 플라톤을 거쳐 프톨레마이오스, 보에티우스까지 음악과 수(특히 합리적인 수rational number와 비합리적인 수ir.. 더보기
[W1] 강의 소개 이번 주는 강의 소개. 검색하는 요령 : Jstor에서 관련 연구 검색riss.kr - 책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음. (특히 과학사와 관련해서 서울대, 서강대, 한양대, 국립도서관 등에 자료가 많다)Google서울대 도서관에 책 구입 신청 가능상호 대차 서비스를 잘 이용할 것 수업 발제 및 토론 : 흥미로운 점을 발견하여 확장하는 작업 개인적인 목표는 기말 리포트를 잘 써서 전체 첨삭을 받는 것! 더보기
2. 일제 강점기의 배경(2) - 식민지 과학기술의 특성 2.일제 강점기의 배경(2) - 식민지 과학기술의 특성 김근배, “식민지시기 과학기술자의 성장과 제약 - 인도ㆍ중국ㆍ일본과 비교해서” 『한국근현대사연구』 8집, (1998), 160-194.김근배, “식민지 과학기술을 넘어서 - 근대 과학기술의 한국적 진화,” 『한국근현대사연구』 58집 (2011), 252-283.오선실, “1920-30년대, 식민지 조선의 전력시스템 전환: 기업용 대형 수력발전소의 등장과 전력망 체계의 구축,” 『한국과학사학회지』 30권 1호 (2008), 1-40.정재정, “근대로 열린 길, 철도,” 『역사비평』 (2005), 221-242.정진성, “서평: 『일제침략과 한국 철도』(정재정 저)” 『經濟史學』 27권 1호 (1999), 248-251. 김성원, “식민지시기 조선인 박.. 더보기
1. 일제 강점기의 배경(1) - 식민지 사회와 문화 속의 과학 1. 일제 강점기의 배경(1) - 식민지 사회와 문화 속의 과학 정선아, “과학데이(1934-1936)의 스펙타클: 일본 식민지시기 특정 과학관의 공공성 획득을 위한 절충적 전략” 『인문사회 21』 5권 2호 (2014), 79-95. 정인경, “은사과학기념관(恩賜記念科學館)과 식민지 과학기술” 『과학기술학연구』 5 (2005), 69-95. 임종태, “김용관의 발명학회와 1930년대 과학운동” 『한국과학사학회지』 17권 2호 (1995), 89-133.김성연, ““나는 살아 있는 것을 연구한다” - 파브르『곤충기』의 근대 초기 동아시아 수용과 근대 지식의 형성“ 『한국문학연구』 44집 (2013), 139-177.한민주, “인조인간의 출현과 근대SF문학의 테크노크라시 - 『인조노동자』를 중심으로,” 『.. 더보기
예수회 신부들의 서양 자연지식 전파 17세기에 가서 '사' 계층에서 자연지식에 대한 관심이 고양될 가능성을 다시 찾아볼 수 있긴 하지만 이것은 대체로 예수회 신부들의 서양 자연지식에 관한 출판의 영향을 받은 때문이었다. 그리고 그나마 지속적인 관심으로 구체화되지는 못했다 예수회 신부들을 연구해보는 것도 흥미로운 주제일 것 같다. 기억해 둘 것! 더보기
1주차: 역사 서술의 흐름과 쟁점 제1주. 역사 서술의 흐름과 쟁점 1. 중국 과학사 서술의 흐름Joseph Needham, “Poverties and Triumphs of the Chinese Scientific Tradition,” Needham, The Grand Titration: Science and Society in East and West (Toronto: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969), pp. 14-54. (번역본: “중국 과학전통의 결함과 성취,” 김영식 편역, 󰡔중국 전통문화와 과학󰡕 (창작사, 1986), 30-73쪽)Yung Sik Kim, “Natural Knowledge in a Traditional Culture: Problems in the Study of the Histor.. 더보기
0주차: 사전 독서 1) 야부치 키요시, 전상운 옮김, 󰡔중국의 과학 문명󰡕 (민음사, 1998)2) 박성래, 󰡔한국사에도 과학이 있는가󰡕, (교보문고, 1998) 더보기
읽기를 통해 공부하는 방법 더보기
토머스 쿤, 『과학혁명의 구조』, 1962/70 토머스 쿤, 『과학혁명의 구조』 7장: 위기 그리고 과학 이론의 출현이론 변화의 선행 조건: 정상적인 전문적 퍼즐 풀이 활동의 붕괴가 위기의 핵심1) 코페르니쿠스 천문학: 16세기 초에 유럽 천문학자들이 천문학의 패러다임이 제구실을 하지 못하고 있음을 깨달음. 2) 연소에 대한 라부아지에의 산소 이론 1770년대에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되어 위기 발생. '기체화학의 융성 / 질량 관계에 대한 의문'은 제일 중요첫째, 기체화학의 융성 : 기체화학의 역사는 17세기 진공 펌프의 개발과 그것을 화학실험에서 사용하면서 시작. 18세기 동안 공기가 화학 반응에서의 활성성분임을 깨달음. 공기가 기체의 유일한 종류라는 믿음 고수. 1756년에 조지프 블랙이 고정된 공기가 언제나 보통 공기와는 구별된다고 보여줌.블랙의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