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라틴어/Oxford Latin Course

Chapter 19: Horatius Delphos uisit

이번 장부터 접속법이 등장한다. 접속법의 어근 변화를 잘 알아두어야 나중에 그와 관련된 수많은 표현들 속에서 길을 잃지 않는다. 열심히 해보자.

 

접속법이 주절에 나오는 경우 : 1, 3인칭 명령 (1인칭 복수는 보통 청유형으로 번역한다, 부정은 ne)

ut + 직설법 : ~처럼(하듯이), ~할 때

ut + 접속법 :

1) 목적절 - 현재, 미완료만 사용, 긍정 ut/부정 ne, 시제일치

2) 간접명령 - 긍정 ut/부정 ne, 시제일치, ut절 속 동사의 주어는 주절의 목적어

3) 결과절

 

시제일치 :

목적절과 간접명령의 경우 주절과 종속절의 시제가 일치해야 한다.

primary일 경우 접속법 현재시제, secondary일 경우 접속법 미완료시제.

primary 시제 - 현재, 미래, 미래완료 (또는 현재완료: 현재 시점에서 주절의 동사 시점이 완료되었다고 보면 primary 시제로 간주할 수 있다)

secondary 시제 - 미완료, 현재완료, 과거완료

 

Chapter 19.

Horatius Delphos uisit

호라티우스는 델포이를 방문한다

viso(-ere, visi, visum) : v. look at; visit

 

Horatius Delphos ire uult ut Apollinis fanum uideat.

호라티우스는 아폴론의 신전을 보기 위해 델포스로 가기를 원한다.

amicum rogat ut secum ueniat. (amicum rogauit ut secum ueniret.)

그는 친구에게 같이 가자고 요청한다. (그는 친구에게 같이 가자고 요청했다.)

Horatius "age, amice," inquit, "festinemus ne sero adueniamus." (Horatius amico persuadet ut festinet.)

호라티우스가 말한다. “, 친구야, 늦게 도착하지 않기 위해 서두르자.” (호라티우스는 서두르자고 친구에게 설득한다.)

Horatius ad templum festinat. amico "noli cessare," inquit; "festinemus ad templum." (Horatius amico imperauit ne cessaret.

호라티우스는 신전으로 서두른다. 그리고 친구에게 말한다. “꾸믈거리지 마. 어서 신전으로 가자.” (호라티우스는 꾸물거리지 말라고 친구에게 말했다.)

 


(a) Horatius Delphos uisit

호라티우스는 델포이를 방문한다

 

Horatius, ubi de morte Ciceronis audiuit, magnopere commotus est.

호라티우스는 키케로의 죽음에 관해 들었을 때, 크게 동요했다.

commotuscommoueo의 완료수동분사이다. 따라서 "commotus est"는 현재완료시제이다.

in Asiam festinare uolebat ut cum Bruto militaret mortemque patris amici uindicaret.

그는 브루투스와 함께 군생활을 하고 친구의 아버지의 죽음의 원수를 갚기 위해 아시아로 서둘러 가고 싶었다.

vindico(-are) : v. avenge (복수하다)

sed antequam Athenis discessit, Delphos uisere constituit, ut Apollinis notissimum fanum uideret, quo homines ab omnibus partibus orbis terrarum ueniebant ut dei oracula peterent.     

그러나 그가 아테나이로부터 떠나기 전에 델피를 방문하기로 결심했는데, 그건 아폴론의 가장 유명한 신전을 보기 위해서였다. 거기에서 신탁을 찾기 위해 전 지역에서 사람들이 가곤 했다.

notus(-a, -um): a. known, well-known

→ 여기서 quo는 '거기에서' 라는 뜻. '거기로'의 뜻도 있는 것 같다.

 

itaque postero die cum amico quodam nomine Pompeio Athenis discessit.

따라서 다음날 그는 폼페이우스라는 이름의 친구와 함께 아테나이에서 출발했다.

primum contendebant uiis planis rectisque, sed quarto die iter difficilius fiebat; colles ascenderunt et mox in montes inierunt; nemini occurrerunt nisi pastoribus qui greges de montibus agebant paucisque uiatoribus qui Delphis redibant.

첫 번째 날에 그들은 평평하고 똑바른 길을 걷고 있었다. 하지만 사흘 째 되던 날 여정은 험난해졌다. 그들은 언덕을 올랐고, 곧 산 속으로 들어갔다. 동물 떼를 이끌고 있는 양치기들과 델피에서 되돌아가고 있는 여행객들을 제외하고는 아무도 만나지 못했다.

grex, gregis : m. flock

 

subito Delphos prospexerunt, in latere montis sitos inter duas rupes ingentes, quae in lumine solis occidentis fulgebant.

갑자기 산의 측면에서 두 큰 바위 사이에 위치한 델피가 보였다. 델피는 지고 있는 태양의 빛 속에서 빛나고 있었다.

ruper, rupis : f. cliff, rock

fulgeo(-ere, fulsi, -) : v. flash

paulisper stabant taciti, maiestate loci commoti.

그들은 장소의 웅장함에 동요되어 잠시 동안 조용히 서있었다.

maiestas, maiestatis : f. majesty (위엄, 웅장함)

a sinistra in campum despexerunt procul iacentem, a dextra montes abrupti ad cealum surgebant; in medio fanum Apollinis ad latera montis adhaerebat.

그들은 왼쪽으로부터 멀리 자리 잡은 평야를 내려다 보았고, 오른쪽으로부터는 가파른 산이 하늘을 향해 서있었다. 중앙에는 아폴론의 신전이 산의 측면에 달라붙어 있었다.

procul : ad. at a distance, far off

abrumpo(-ere, abrupi, abruptum) : v. break off sth.

abruptus(-a, -um) : a. steep

adhaereo(-ere, adhaesi, adhaesum) : v. adhere to

 

tandem Horatius, "age," inquit, "festinemus, ne nox nobis incidat antequam deuenerimus."

마침내 호라티우스가 말했다. “, 서두르자. 우리가 도착하기 전에 밤이 우리에게 떨어지지 않게 하기 위해서 말이야.

sol occiderat cum Delphos aduenerunt; cenauerunt in parua caupona continuoque dormiuerunt.

그들이 델피에 도착했을 때 태양은 지고 있었다. 그들은 작은 여관에서 식사를 하고 즉시 잠에 들었다.

 

postero die Pompeius Horatio excitato dixit: "age, Quinte, collem ascendamus ut templum Apollinis uideamus."

다음날 폼페이우스는 호라티우스를 깨우고(깨워진 호라티우스에게) 말했다. “, 퀸투스야, 아폴론의 신전을 보러 언덕을 올라가자.”

Viam Sacram ascenderunt.

그들은 신성한 길을 올라갔다.

ianuae templi apertae erant.

신전의 문은 열려 있었다.

a fronte homines nonnulli sedebant Pythiam exspectantes.

그 앞에는(앞쪽으로부터) 몇 명의 사람들이 앉아서 퓌티아를 기다리고 있었다.

mox Pythia ipsa a sacerdote adducta est, ueste pura induta ramumque laurus manu gerens.

곧 깨끗한 옷을 입고(깨끗한 옷으로 입혀지고) 월계수 가지를 손에 든 퓌티아 자신이 사제에 의해 이끌려 왔다.

vestis, vestis : f. dress, clothes

purus(-a, -um) : a. clean

in adytum descendit.

그는 지성소로 내려왔다.

deinde murmura audita sunt ex adyto sonantia; Pythia, a deo afflata, oraculum diuinum edebat.

곧이어 사람들은 지성소로부터 우물우물 거리는 소리를 들었다. 퓌티아가 신에 의해 영감을 받아(숨이 들이쉬어져, 신이 들려서) 신탁을 내놓고 있었다.

murmur, murmuris : n. murmur

afflo(-are, afflaui, afflatum) : v. blow, breathe

edo(-ere, edidi, editum) : v. produce

edo(esse, edi, esum) : v. eat. 아 정말 헷갈린다.

mox murmura desierunt.

곧 우물우물 거리는 소리가 멈췄다.

desino(-ere, desiui/desii, desitum) : v. cease

Pythia ex adyto ascendit oculisque ad terram demissis e templo tacita exiit.

피튀아는 지성소 밖으로 올라갔고 두 눈을 땅으로 떨군 채 조용히 신전 밖으로 나갔다.

→ "oculis demissis"는 수단의 5격으로도, 절대 5격으로도 볼 수 있다. 수단의 의미로 번역하면 '땅으로 내려 보내진 눈들로서' 정도가 되겠고, 절대적인 의미로 번역하면 '눈이 땅으로 내려가진 채' 정도가 되겠다.

sacerdos oraculum in tabula scriptum supplici tradidit.

그는 사제들에게 서판에 적힌 신탁을 탄원자에게 건냈다.

supplex, supplicis : m. suppliant (애원자, 탄원자)

ille tabulam summa reuerentia acceptam perlegit deoque gratias egit.

그는 받은 서판을 경탄에 가득 찬 상태로 모두 읽었고, 신에게 감사를 표했다.

reverentia, -ae : f. timidity, shyness (due to respect)

 

Horatius, hanc caerimoniam tam ueterem spectans, ualde commotus est.

호라티우스는 이 매우 오래된 의식을 보며 많이 동요되었다.

caerimonia, -ae : f. ritual (의식)

vetus, veteris : a. old, ancient

ad statuam Apollinis, quae in ultima parte templi stabat, se uertit; manus ad caelum sustulit deumque orauit ut propitius sibi esset.

그는 신전의 맨 끝 부분에 서 있는 아폴론의 동상을 향해 돌아섰다. 그는 하늘을 향해 손을 들고, 그가 그 자신에게 더욱 우호적으로 되도록 신에게 간청했다.

eo ipso tempore hoc sciuit: poeta futurus erat uatesque Apollinis.

바로 그때 그는 이것을 알았다. 그가 시인, 그리고 아폴론의 예언자가 될 것을 말이다.

scio(-ire, sciui/scii, scitum) : v. know

e templo tacitus exiit et de colle cum Pompeio descendit.

그는 신전 밖으로 조용히 나가서 폼페이우스와 함께 언덕을 내려갔다.

prope uiam erat fons Castalius, Apollini Musisque sacer.

길 근처에는 아폴론와 무사 여신들에게 신성한 카스탈리우스 샘이 있었다.

sacer(-a, -um) : a. sacred

Horatius constitit aquamque bibit.

호라티우스는 멈춰 서서 물을 마셨다.

 

 

(b) Horatius ad Asiam nauigat

호라티우스는 아시아로 항해한다

 

paucis post diebus Athenas redierunt.

며칠 뒤에 그들은 아테나이로 돌아갔다.

Horatius non diutius dubitauit; certus erat Bruto se coniungere.

호라티우스는 더 이상 주저하지 않았다. 그는 브루투스와 함께 하기로 마음먹었다(자기 자신을 브루투스에게 연결하기로).

dubito(-are) : doubt, hesitate

certus(-a, -um) : a. certain, resolved (결심이 굳은)

coniungo(-ere, coniunxi, coniunctum) : v. connect

in urbem festinauit ut Pompeium quaereret.

그는 폼페이우스를 찾기 위해 도시로 서둘렀다.

quaero(-ere, quaesiui, quaesitum) : v. look for, ask (question)

inuenit eum in taberna sedentem uinumque bibentem.

주점에 앉아서 포도주를 마시고 있는 그를 발견했다.

"Pompei," inquit, "non diutius dubitabo. ad Asiam contendam ut cum Bruto militem. uisne mecum uenire?"

그가 말했다. “폼페이우스야, 난 더 이상 주저하지 않을 거야. 브루투스와 함께 싸우기(군복무 하기) 위해서 마이사로 갈 거야. 나와 함께 갈 거니?”

ille "ego quoque pro Bruto et libertate pugnare uolo. tecum ueniam."

그가 말했다. “나 또한 브루투스와 자유를 위해 싸우고 싶어. 난 너와 함께 갈 거야.”

proablative와 함께 쓰인다는 것을 알아두자. 뜻은 ‘in front of', 'on behalf of', 'for'.

Horatius ei imperauit ut ad iter se pararet; "cras" inquit "Athenis discedamus."

호라티우스는 그에게 여행 채비를 하라고(여행을 위해 자기 자신을 준비하라고) 말했다. 그리고 말했다. “내일 아테나이에서 출발하자.”

 

postero die Horatius Pompeiusque primum ad Academiam festinauerunt ut amicos ualere iuberent.

다음날 호라티우스와 폼페이우스는 친구들에게 인사하기 위해 먼저 아카데메이아로 서둘렀다.

deinde ad portum contenderunt ut nauem quaererent quae ad Asiam nauigatura erat.

그러고 나서 아시아로 항해할 예정인 배를 찾기 위해 항구로 걸어갔다.

ubi ad portum aduenerunt, nauis magistro in taberna bibenti occurrerunt qui illo ipso die ad Asiam nauigaturus erat.

항구에 도착했을 때, 그들은 주점에서 포도주를 마시고 있는 선장을 만났다. 그 선장은 바로 그날 아시아로 항해할 예정이었다.

ille eos libenter excepit nec uiaticum rogauit, quod Bruti causam adiuuare uolebat.

그는 그들을 기꺼이 받아주었고 뱃삯을 요구하지 않았다. 왜냐하면 브루투스의 대의를 돕고 싶기 때문이었다.

excipio(-ere, excepi, exceptum) : v. receive

causa : 대의

 

meridie magister eis imperauit ut nauem conscenderent.

정오가 되나 선장은 그들에게 승선하라고 말했다.

nautae nauem soluerunt cursumque Delum tenebant.

선원들은 배를 풀고 델로스를 향해 항로를 유지하고 있었다.

ubi ad insulam aduenerunt nauisque ad molem religata est, Horatius in terram exiit ut locum exploraret ubi deus Apollo natus erat.

그들이 섬에 도착하고 배가 부두에 정박했을 때, 호라티우스는 아폴론 신이 태어난 그 장소를 탐색하기 위해 땅으로 나갔다.

moles, molis : f. 부두

ubi는 여기서 장소 부사로 쓰였다.

natus'natus(-a, -um)'처럼 형용사로 쓰일 수도 있고, deponent 동사 'nascor(nasci, natus)'의 완료수동분사로 쓰일 수도 있다. 어떻게 쓰여도 의미는 같다.

ubi omnia spectauit, ad nauem rediit.

그가 모든 것을 다 구경하고 나서 배로 돌아갔다.

mox nautae nauem soluerunt cursumque tenebant ad Asiam.

곧 선원들은 배를 풀고 아시아로 항로를 유지하고 있었다.

'라틴어 > Oxford Latin Cour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apter 21: Philippi  (0) 2018.02.15
Chapter 20: Horatius militat  (0) 2018.02.13
Chapter 18: Brutus Athenas aduenit  (0) 2018.02.01
Chapter 17: Athenis  (0) 2018.01.31
Chapter 16: Caesaris funus  (0) 2018.0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