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연구 및 교육 기관
7.연구 및 교육 기관 고대승, “원자력기구 출현과정과 그 배경,” 『한국과학사학회지』 14(1) (1992), 62-87쪽. John DiMoia, “Atoms for Sale?: Cold War Institution-Building and the South Korean Atomic Energy Project, 1945-1965,” Technology and Culture 51(3) (2010), 589-618.문만용, “KIST에서 대덕연구단지까지 - 박정희 시대 정부출연연구소의 탄생과 재생산,” 『역사비평』 85 (2008), 262-289.박진희, “연구자 집단의 성장과 변천-정부출연연구기관을 중심으로”, 김환석 외 편저, 한국의 과학자 사회: 역사, 구조, 사회화 (궁리, 2010), 183..
더보기
6. 인공물
6.인공물 김태호, “신품종 벼 ‘IR667'(통일)과 한국 농학의 신기원,” 『한국과학사학회지』 30(2) (2008), 383-416쪽.선유정, “과학공간에서 정치공간으로: 은수원사시나무 개발과 보급”, 한국과학사학회지 31(2) (2009), 437-474.Chihyung Jeon, “A Road to Modernization and Unification: The Construction of the Gyeongbu Highway in South Korea,” Technology and Culture 51(1) (2010): 55-79.김종욱, “냉전의 ‘이종적 연결망’으로서 ‘평화의 댐’ 사건: 행위자-연결망 이론을 통한 경험적 추적”, 『동향과 전망』 83 (2011 가을.겨울호), 79-11..
더보기
5. 과학기술정책 및 인물(3) - 전상근, 최형섭, 오원철
5.과학기술정책 및 인물(3): 전상근, 최형섭, 오원철 전상근, 『한국의 과학기술 개발 – 한 정책입안자의 증언』 (삶과 꿈, 2010[1982]), pp. 139-198. (과학기술처, 기술인력)최형섭, 『開發途上國의 科學技術開發戰略: 韓國의 發展過程을 中心으로』 (한국과학기술연구소, 1980), 제 1부, pp. 118-157. (한국의 경제정책 + 과학기술정책)오원철, 『박정희는 어떻게 경제강국 만들었나』 (동서문화사, 2006), pp. 135-205. (중화학공업) 1. 전상근, 『한국의 과학기술 개발 – 한 정책입안자의 증언』 (삶과 꿈, 2010[1982]), pp. 139-198. (과학기술처, 기술인력)필자는 전상근(2010)의 글을 통해서 현재 한국의 과학기술정책 입안자 및 관련자들이..
더보기
4. 인물(2) - 우장춘, 이휘소, 김봉한
4.인물(2) - 우장춘, 이휘소, 김봉한 김근배, “우장춘의 한국 귀환과 과학연구”, 26(2) (2004), 139-164. 정종현, “과학과 내셔널리즘 - ‘해방전후’ 과학(자)의 이동과 우장춘 서사의 과학 담론을 중심으로” 『상허학보』 39 (2013), 207-249.Sung Won KIM, “Korean Prometheus? Mythifying Benjamin Whiso Lee,” EASTS 8(2) (2014), 195-208.김근배, “과학과 이데올로기 사이에서: 북한 ‘봉한학설’의 부침” 한국과학사학회지 21(2) (1999), 194-220. 1. 김근배, “우장춘의 한국 귀환과 과학연구”, 26(2) (2004), 139-164.우장춘이라는 인물을 평가하는 데 있어서 흔히 쟁점으로..
더보기
3. 인물(1) - 이태규, 리승기
3.인물(1) - 이태규, 리승기 John DiMoia, “Transnational Scientific Networks and the Research University: The Making of a South Korean Community at the University of Utah, 1948-1970,” East Asian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an International Journal 6(1) (2012), 17-40.송상용, “이태규, 한국 화학의 길을 연 과학계의 큰 별” 『한국사 시민강좌』 50 (2012), 273-284.김근배, “리승기의 과학과 북한사회”, 『한국과학사학회지』 20(1) (1998), 3-25.김태호, “리승기의 북한에서의 ‘비날론..
더보기
2. 일제 강점기의 배경(2) - 식민지 과학기술의 특성
2.일제 강점기의 배경(2) - 식민지 과학기술의 특성 김근배, “식민지시기 과학기술자의 성장과 제약 - 인도ㆍ중국ㆍ일본과 비교해서” 『한국근현대사연구』 8집, (1998), 160-194.김근배, “식민지 과학기술을 넘어서 - 근대 과학기술의 한국적 진화,” 『한국근현대사연구』 58집 (2011), 252-283.오선실, “1920-30년대, 식민지 조선의 전력시스템 전환: 기업용 대형 수력발전소의 등장과 전력망 체계의 구축,” 『한국과학사학회지』 30권 1호 (2008), 1-40.정재정, “근대로 열린 길, 철도,” 『역사비평』 (2005), 221-242.정진성, “서평: 『일제침략과 한국 철도』(정재정 저)” 『經濟史學』 27권 1호 (1999), 248-251. 김성원, “식민지시기 조선인 박..
더보기
1. 일제 강점기의 배경(1) - 식민지 사회와 문화 속의 과학
1. 일제 강점기의 배경(1) - 식민지 사회와 문화 속의 과학 정선아, “과학데이(1934-1936)의 스펙타클: 일본 식민지시기 특정 과학관의 공공성 획득을 위한 절충적 전략” 『인문사회 21』 5권 2호 (2014), 79-95. 정인경, “은사과학기념관(恩賜記念科學館)과 식민지 과학기술” 『과학기술학연구』 5 (2005), 69-95. 임종태, “김용관의 발명학회와 1930년대 과학운동” 『한국과학사학회지』 17권 2호 (1995), 89-133.김성연, ““나는 살아 있는 것을 연구한다” - 파브르『곤충기』의 근대 초기 동아시아 수용과 근대 지식의 형성“ 『한국문학연구』 44집 (2013), 139-177.한민주, “인조인간의 출현과 근대SF문학의 테크노크라시 - 『인조노동자』를 중심으로,”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