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적의 3격
uilicus Horatio magno auxilio erat.
→ 농장 관리인은 호라티우스에게 큰 도움을 위해 있었다(큰 도움을 주었다).
fumus strepitusque urbis Horatio odio erant.
→ 도시의 연기와 소음은 호라티우스에게 증오를 위해 있었다(증오의 대상이었다).
→ 좀 더 우리말에 맞게 자연스럽게 번역하면, ‘호라티우스는 도시의 연기와 소음을 싫어했다.’
auxilio esse
→ auxilium, -i : n. help
cordi esse (마음에 들다, 소중하다) / curae esse (걱정하다) / exemplo esse (본보기가 되다) / exitio esse (파멸의 원인이 되다) / odio esse (~에게 미움을 받다) / saluti esse (안전하게 되다) / usui esse (유용하다, 도움이 되다)
→ usus, -us : m. use
▷ 접속법을 지닌 관계절 : 목적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Horatius seruos emisit qui segetes meterent, pueros designauit qui oues custodirent.
→ 곡물들을 수확하기 위해 노예들을 보냈다. 양들을 지키도록 소년들을 임명했다.
prima luce profecti sumus quo celerius domum adueniremus.
→ 왜 qua가 아니라 quo인가? quo는 원래 관계부사이지만, 관용적으로 목적으로 보면 된다.
Chapter 30.
Horatius amicus fit principis
호라티우스는 제일시민의 친구가 된다
(a) Horatius amicus fit principis
호라티우스는 제일시민의 친구가 된다
Maecenas Vergiliusque Horatium Augusto commendauerunt; mox ille quoque in numerum amicorum principis receptus est, qui eum adeo diligebat ut eum scribam suum facere uellet.
마이케나스와 베르길리우스는 호라티우스를 아우구스투스에게 추천했다. 곧 그 또한 제일시민친구들의 무리로 받아주었다. 아우구스투스는 자기 자신의 서기로 만들고 싶어 했을 정도로 호라티우스를 매우 좋아했다.
epistolam enim ad Maecenatem scripsit in qua haec dicit: "antea ipse sufficiebam scribendis epistolis ad amicos: nunc occupatissimus et infirmus Horatium nostrum a te cupio abducere. ueniet ergo et nos in epistolis scribendis adiuuabit." (Suetonius, Vita Horatii)
왜냐하면 그는 마이케나스에게 다음과 같이 말하는 편지를 썼기 때문이다. “예전에 난 친구들에게 편지를 쓰는 것으로 충분했었소. 이제 나는 매우 바쁘고 약하므로 우리의 호라티우스를 당신에게서 빼내오고 싶소. 따라서 그는 이곳에 와서 우리가 편지 쓰는 것을 도울 것이오.”
→ sufficio(-ere, suffeci, suffectum) (+ 3격) : v. supply, be sufficient
→ infirmus(-a, -um) : a. weak, feeble
Horatius tamen praesentem cursum uitae mutare nolebat.
그러나 호라티우스는 지금의 삶의 경로를 바꾸고 싶지 않았다.
→ muto(-are) : v. change
Maecenatem rogauit quid sibi faciendum esset.
그는 마이케나스에게 자신이 무엇을 해야 하는지 물었다.
ille "noli te uexare," inquit; "fortis esto. dic ei te tanto honore indignum esse. nega te satis ualere ut tantum opus suscipias. scito principem uirum prudentem esse et humanum; rem intelleget nec tibi irascetur."
그가 말했다. “스스로를 괴롭히지 마시오. 당신은 강합니다. 그에게 당신은 그렇게 큰 영광에 어울리지 않는다고 말하시오. 당신은 그렇게 큰일을 할 수 없을 정도로 별 능력이 없다고 말하시오. 제일시민은 현명하고 인간적인 남자임을 아십시오. 그는 사안을 이해하고 당신에게 화내지 않을 겁니다.”
→ vexo(-are) : v. annoy
→ irascor(irasci, iratus sum) (+ dat.) : v. become angry
Horatius igitur principi respondit sicut Maecenas monuerat.
따라서 호라티우스는 마이케나스가 조언했던 대로 제일시민에게 답장했다.
ille excusationem eius aequo animo accepit nec desiit eum in numero amicorum habere.
제일시민은 호라티우스의 변명을 평온한 마음으로 받아들였고 그를 친구들의 집단에 소속시키는 것을 중단하지 않았다.
→ aequo animo : 평온한 마음으로 (숙어)
→ desino(-ere, desii, desitum) : v. desist, cease
→ sino : allow
(b) Mors Vergili
베르길리우스의 죽음
tempus fugiebat; et Horatius et Vergilius iam seniores erant.
시간은 빠르게 흘렀다. 호라티우스도 베르길리우스도 이제 더 나이가 들었다.
Vergilius, qui numquam recte ualuerat, iam saepe aegrotabat.
베르길리우스는 제대로 건강하게 살지 못했고, 이제 종종 아팠다.
→ recte : ad. 똑바로, 제대로
→ aegroto(-are) : v. be ill
in Graeciam tamen iter fecit ad monumenta uisenda.
그러나 그는 기념물을 보기 위해 그라이키아로 여행을 떠났다.
sed cum Athenas aduenisset, Augusto occurrit ab Oriente redeunti, qui ei persuasit ut secum Romam rediret.
그러나 그가 아테나이에 도착한 후, 동방에서 되돌아오고 있는 아우구스투스를 만났다. 아우구스투스는 자신과 함께 로마로 되돌아가자고 설득했다.
in itinere morbo correptus Brundisii mortuus est.
여행 중에 그는 병에 걸려 브룬디시움에서 사망했다.
→ morbus, -i : m. disease, sickness
→ corripio(-ere, corripui, correptum) : v. seize
Augustus corpus eius ad Campaniam rettulit curauitque eum Neapoli sepeliendum.
아우구스투스는 그의 시체를 캄파니아로 다시 보냈고 그를 나이폴리스에 묻게 했다.
→ curo는 여기서 ‘~하게 하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gerundive를 사용하여 목적을 나타낼 수 있다.
→ sepelio(-ire, sepeliui, sepultum) : v. bury
Horatius amicum suum carissimum, quem olim appellauerat "animae dimidium meae," sine fine maerebat.
호라티우스는 언젠가 “내 영혼의 반쪽”이라고 불렀던 자신의 가장 소중한 친구를 끝없이 슬퍼하곤 했다.
→ maereo(-ere, maerui) : v. grieve for
→ dimidium, dimidii : n. half
(c) Horatius rusticus
시골인 호라티우스
Marcus Cicero Horatio magno auxilio erat.
마르쿠스 키케로는 호라티우스에게 큰 도움을 주었다.
fumus streptiusque Romae Horatio odio erant.
로마의 연기와 소음은 호라티우스에게 증오의 대상이었다.
Horatius, ut senior fiebat, plus temporis in fundo suo agebat.
호라티우스는 그가 더 늙었을 때, 많은 시간을 자신의 농장에서 보냈다.
negotiorum enim eum taedebat et urbis strepitus fumusque ei odio erant.
왜냐하면 그는 일들에 싫증이 났고, 도시의 소음과 연기를 무척 증오했기 때문이었다.
saepe cum in urbe manendum esset, sibi dicebat:
그는 종종 도시에 머물러야 했을 때면, 그 자신에게 이렇게 말하곤 했다(속으로 말하곤 했다).
Horace, Satires 2.6.60-2
cum igitur in fundo Sabino maneret, re uera rusticus fiebat.
따라서 사비눔 농장에 머무를 때면, 그는 실제로 시골인이 되었다.
seruos emisit qui segetes meterent; pueros designauit qui oues custodirent; ipsa sua manu saxa ex agris mouebat; ipse uuas carpebat uinumque faciebat.
그는 곡물을 수확하기 위해 시중을 보냈다. 그리고 양을 감시하기 위해 소년들을 임명했다. 그는 그 자신의 손으로 돌을 들 밖으로 옮겼다. 그리고 포도를 따서 포도주를 만들기도 했다.
→ meto(-ere, messui, messum) : v. harvest 수확하다
→ designo(-are) : v. appoint
→ moveo(-ere, movi, motum) : v. move
uinum quod in fundo suo fecerat, hospitibus offerebat.
그는 농장에서 만든 포도주를 손님들에게 제공하곤 했다.
sic, cum Maecenatem ad cenam uocaret, dixit:
마이케나스를 식사에 초대할 때면, 이렇게 말했다.
Horace, Odes 2.20.1-3
si pluebat, segetes Horatio curae erant; si grandines in uinetum ruebant, pro uuis timebat.
만약 비가 오면, 호라티우스는 곡물을 걱정했다. 그리고 만약 싸라기눈이 포도밭을 망치면, 포도 앞에서(포도를 위해서) 두려워 하곤 했다.
fundus enim ei tantopere cordi erat ut semper laetus eum reuiseret, semper tristis esset cum Romam redeundum esset.
왜냐하면 농장은 그가 항상 기쁘게 다시 방문할 정도로, 그리고 로마로 되돌아가야 할 때면 항상 슬퍼할 정도로 그에게 큰 소중함의 대상이었기 때문이다.
→ cor, cordis : n. heart
tali cursu uitae plane contentus, aliis non inuidebat qui ditiores erant.
그는 그러한 삶의 경로에 매우 만족해서 더 부유한 다른 사람들을 질투하지 않았다.
→ talis, tale : a. such
→ plane : clearly, extremely
→ planus(-a, -um) : a. flat, level
→ inuideo(-ere, inuidi, inuisum) (+ dat.) : v. envy
fabulam narrauit qua nos moneret ne nimium speraremus.
그는 우리에게 너무 많은 것을 희망하지 말라고 조언하는 이야기를 들려준다.
in hac fabula muri rustico persuadetur ut amicum urbanum uisat urbisque gaudia gustet:
이 이야기 속에서 시골쥐는 친구 도시쥐를 방문해서 도시의 즐거움을 맛보라고 설득된다.
...
mus rusticus optima de horreo paupere protulit quibus hospitem superbum delectaret.
시골쥐는 별 볼일 없는 창고에서 오만한(자부심 있는) 손님을 기쁘게 하기 위해 가장 좋은 것을 내놓는다.
→ pauper, pauperis : a. poor
ille ea fastidiose accepta uix gustauit.
도시쥐는 꺼려하면서 그것을 받고 거의 맛보지도 않는다.
→ fastidiose : ad. disdainfully
...
media iam uenerat nox, cum domum diuitem inierunt.
그들이 부유한 집에 도착했을 때, 이미 한밤중이었다.
mus urbanus hospitem in lecto locauit dapesque magnificas ei proposuit.
도시쥐는 손님을 침대에 앉히고 휘황찬랂나 음식들을 그에게 내놓았다.
...
currebant per totum conclaue, territi; simul domus tota personuit canum latratu.
그들은 두려워하며 온 방 안을 뛰어다니고 있었다. 동시에 개 짖는 소리로 집 전체가 울렸다.
→ conclaue, conclauis : n. room
→ simul : together, at the same time
→ persono(-are, personui, personitum) : v. sound through
Horace, Satires 2.6.79-117 with omissions
'라틴어 > Oxford Latin Cour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apter 31: Indomita mors - finis (0) | 2018.02.22 |
---|---|
Chapter 29: Augustus (0) | 2018.02.22 |
Chapter 28: Horatius rusticus fit (0) | 2018.02.19 |
Chapter 27: Maecenas poetas fouet (0) | 2018.02.19 |
Chapter 26: Horatius iter Brundisium facit (0) | 2018.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