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3] 천문학과 우주론: 발제 과학사통론1 - 3주차 발제 (2018. 3. 16)천문학과 우주론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 조장현 Kathleen M. Crowther and Peter Barker, “Training the Intelligent Eye: Understanding Illustrations in Early Modern Astronomy Texts”, Isis 104(3) (2013), pp. 429-470. 1. 원전 독해에 대한 문제의식우리는 과학사의 1차 문헌을 살펴볼 때 역사가의 입장에서 무엇을 가장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까? 여러 가지 대답이 가능하겠다. 하지만 만약 역사가의 일차적인 임무가 비역사적인 왜곡을 최대한 줄이고 문헌의 저자 자신이 그것을 통해 전달하려고 했던 바를 이해하는 것이라면, 필자는 저자가 .. 더보기 [W2] 우주의 음악과 하모니: 발제 과학사통론1 - 2주차 발제 (2018. 3. 9)우주의 음악과 하모니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 조장현 Peter Pesic, Music and the Making of Modern Science (Cambridge, Massachusetts: The MIT Press, 2014), Chapters 2, 5. Chapter 2. The Dream of Oresme 2장에서 Pesic은 음악이 14세기에 천문학, 산술학, 기하학 사이를 매개하는 본질적인 역할을 했다는 사실을 오렘Oresme을 중심으로 밝히고 있다.보에티우스Boethius(480~524)의 음악에 대한 논고가 소실되었다가 9세기에 다시 등장하여 그리스의 음악에 대한 중요한 원천으로 활용되면서, 음악 과학musical science은 자연.. 더보기 [W2] 우주의 음악과 하모니: 티마이오스 독서 노트 과학사통론1 - 2주차 독서 노트 (2018. 3. 9)우주의 음악과 하모니조장현 플라톤 저, 박종현·김영균 공동 역주, 『플라톤의 티마이오스』 (서광사, 2000) 27c-69a(pp. 74-194) 1. 우주론적 탐구의 성격과 그 범위‘언제나 존재하는 것이되 생성을 갖지 않는 것’은 합리적 설명(logos)과 함께하는 지성에 의한 앎(이해)에 의해 포착되며, ‘언제나 같은 상태로 있는’ 것이다. 반면 ‘언제나 생성되는 것이되 결코 존재(실재)하지는 않는 것은 ’비이성적인 감각‘과 함께하는 의견의 대상이며, 생성·소멸되는 것이며 결코 ’참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생성되는 것은 필연적으로 원인이 있어야 하므로 ‘만드는 이(demiourgos)'와 그가 본 떠야 할 ’본(paradeigma)'이 있어.. 더보기 [W2] 우주의 음악과 하모니: Pesic 독서 노트 과학사통론1 - 2주차 독서 노트 (2018. 3. 9)우주의 음악과 하모니조장현 Peter Pesic, Music and the Making of Modern Science (Cambridge, Massachusetts: The MIT Press, 2014), pp. 1-131. Chapter 1. Music and the Origins of Ancient SciencePesic(2014)은 음악과 현대과학의 형성 사이에는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주장한다. 음악이 현대과학의 기원인 고대 그리스 철학의 중심적인 요소였다는 이유에서다. 1장에서 Pesic은 피타고라스부터 시작해 필롤라오스, 플라톤을 거쳐 프톨레마이오스, 보에티우스까지 음악과 수(특히 합리적인 수rational number와 비합리적인 수ir.. 더보기 [W1] 강의 소개 이번 주는 강의 소개. 검색하는 요령 : Jstor에서 관련 연구 검색riss.kr - 책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음. (특히 과학사와 관련해서 서울대, 서강대, 한양대, 국립도서관 등에 자료가 많다)Google서울대 도서관에 책 구입 신청 가능상호 대차 서비스를 잘 이용할 것 수업 발제 및 토론 : 흥미로운 점을 발견하여 확장하는 작업 개인적인 목표는 기말 리포트를 잘 써서 전체 첨삭을 받는 것! 더보기 이전 1 2 3 4 5 6 ··· 41 다음